본문 바로가기
유용한 정보

나만의 음원 만들기 & 음원 사이트 등록 방법 – 완벽 가이드

by grit-1 2025. 4. 1.



음원을 직접 제작하여 멜론, 지니, 스포티파이, 애플뮤직 등 주요 음원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. 음악 제작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


---

1. 음원 제작 단계


✅ ① 작곡 및 작사

직접 곡을 만들거나 AI 작곡 도구 활용 가능 (예: BandLab, Soundraw)

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미디 프로그램(DAW) 활용 가능 (예: Cakewalk, GarageBand)


✅ ② 녹음 및 편곡

녹음 장비: 기본 마이크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(예: Focusrite Scarlett 2i2)

DAW(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) 사용 (예: FL Studio, Ableton Live, Logic Pro)

믹싱 & 마스터링 필수 (전문가 의뢰 가능)


✅ ③ 음원 파일 완성

형식: WAV(24bit, 44.1kHz) 또는 FLAC

메타데이터 입력 (곡 제목, 아티스트명, 장르, 작곡가 정보 등)



---

2. 음원 사이트 등록 방법


✅ ① 음원 유통사 선택
음원을 직접 음원 플랫폼에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유통사를 통해 등록해야 합니다. 대표적인 유통사:

디토뮤직(Ditto Music) – 글로벌 플랫폼 지원, 독립 아티스트에게 적합

뮤직카우(Music Cow) – 저작권 거래 가능

사운드클라우드 프로(SoundCloud Pro) – 무료 업로드 가능, 수익화 옵션 제공

오디오맥(Audiomack) – 신진 아티스트에게 적합, 무료 업로드 가능


✅ ② 유통사에 회원가입 및 음원 등록

음원 업로드 (WAV 또는 FLAC 파일)

앨범 커버 이미지 등록 (3000x3000px, JPG 또는 PNG)

아티스트명, 장르, 발매일 입력

저작권 정보 확인 (작사·작곡·편곡자 기재)


✅ ③ 심사 및 배포 진행

보통 3~14일 내 심사 후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에 배포됨

등록된 음원은 멜론, 지니, 애플뮤직, 유튜브 뮤직, 스포티파이 등에 자동으로 배포됨



---

3. 음원 등록 후 해야 할 일


✅ ① 저작권 등록

한국음악저작권협회(KOMCA) 또는 저작인접권 협회 등록

저작권 보호를 위해 등록 필수 (불법 복제 방지)


✅ ② 음원 홍보 & 수익화

유튜브, 인스타그램, 틱톡 등에 음원 활용한 숏폼 영상 제작

SNS 광고, 인플루언서 협업, 플레이리스트 마케팅 활용

유튜브 콘텐츠로 활용하여 유튜브 콘텐츠 수익화 가능


✅ ③ 스트리밍 & 다운로드 수익 체크

음원 플랫폼에서 발생한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수익은 유통사를 통해 정산됨

일반적으로 월 단위 정산, 유통사마다 정산 방식 다름



---